중소 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소 분쟁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이어진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 간의 정치적, 이념적 갈등이다.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인한 영토 분쟁, 중국의 제2차 5개년 계획에 대한 소련의 소극적인 지원, 흐루쇼프의 평화 공존론에 대한 이견 등이 발단이 되었다. 이로 인해 국제 공산주의 운동은 친소련, 친중국, 중립 노선으로 분열되었으며, 알바니아와 같은 국가는 중국을 지지했다. 이념적 갈등은 1960년대에 격화되었고, 중소 국경 분쟁으로 이어져 무력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미중 관계 개선을 통해 소련을 견제하려는 미국의 전략이 나타났고, 1980년대에는 덩샤오핑의 개혁 개방 정책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해 관계가 개선되어 1989년 정상화되었다. 중소 분쟁은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분열, 냉전 구도의 변화, 그리고 한반도를 포함한 제3세계에서의 경쟁 심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중국 - 대약진 운동
대약진 운동은 마오쩌둥 주도로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중국에서 진행된 급진적인 경제 개발 운동으로, 농업 집단화와 중공업 중심 산업화를 추진했으나 비현실적인 목표와 정책으로 대규모 기근과 인명 피해를 초래하며 중국 공산당 권위 실추와 문화대혁명의 원인이 되었다. - 1960년 군사사 - U-2기 사건
U-2기 사건은 1960년 5월 1일 미국 U-2 정찰기가 소련 영공에서 격추되어 미국의 첩보 활동이 드러나면서 미·소 관계가 악화되고 국제적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1960년 군사사 - 크롬 돔 작전
크롬 돔 작전은 1960년부터 1968년까지 냉전 시대에 소련의 핵 공격에 대비하여 수소폭탄을 탑재한 B-52 폭격기를 공중 대기시킨 미국의 작전이다. - 1960년 소련 - U-2기 사건
U-2기 사건은 1960년 5월 1일 미국 U-2 정찰기가 소련 영공에서 격추되어 미국의 첩보 활동이 드러나면서 미·소 관계가 악화되고 국제적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1960년 소련 - 증기기관차와 바이올린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감독의 1960년 단편 영화인 증기기관차와 바이올린은 바이올린을 배우는 소년 사샤가 증기 롤러 운전사 세르게이를 만나 우정과 성장을 겪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타르코프스키의 졸업 작품으로서 그의 영화적 스타일의 기원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소 분쟁 | |
---|---|
중소 분열 | |
![]() | |
시기 | 1961년 – 1989년 |
원인 | 소련의 탈스탈린화 수정주의 반대 마오주의-제3세계주의 |
결과 | 동구권 동맹국을 위한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 간의 경쟁 |
방법 | 대리전 선전 국경 소규모 전투 |
장소 | 중국 소련 몽골 인도차이나 아프가니스탄 |
교전 세력 | |
제1측 | 중국 알바니아 (1978년까지) 민주 캄푸치아 (1975년–1982년) 민주 캄푸치아 연립정부 (1982년부터) 북한 (파트타임 동맹) |
제2측 | 소련 코메콘 바르샤바 조약 기구 몽골 (1962년부터) 쿠바 (1972년부터) 베트남 (1978년)부터 라오스 (1978년부터)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 (1979년–1989년)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1979년–1989년) 북한 (파트타임 동맹) |
주요 지도자 | |
제1측 지도자 | 마오쩌둥 (1976년까지) 화궈펑 (1976년–1978년) 덩샤오핑 (1978년–1989년) |
제2측 지도자 | 니키타 흐루쇼프 (1964년까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64년–1982년) 유리 안드로포프 (1982년–1984년) 콘스탄틴 체르넨코 (1984년–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1985년–1989년) |
지도 |
2. 발단 및 경과
아이훈 조약(1858년)과 베이징 조약(1860년)으로 청나라가 러시아에 영토를 할양하면서 중소 분쟁이 시작되었다. 1958년부터 시작된 중국의 제2차 5개년 계획에 소련이 적극적으로 후원하겠다고 했으나 이를 제대로 실천하지 않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타이완 해협 위기 상황을 조성했을 때 소련은 표면적으로만 중국 공산당을 지지하고 실질적으로는 관여하지 않았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과 인도 사이의 국경 분쟁에서 소련이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 것에 대해 중국 공산당은 오랫동안 쌓여왔던 불만을 표면화했다.
중소 분쟁 이후 공산권은 친소련파와 친중국파로 분열하였다. 알바니아는 마오쩌둥의 반수정주의를 적극 지지하며 중화인민공화국과 친교를 강화하였다. 반면, 쿠바 공화국, 베트남, 라오스, 아프가니스탄, 에티오피아, 토고, 남예멘, 앙골라, 모잠비크, 콩고 공화국은 소련 지지를 고수하던 친소련파였다. 소말리아는 1977년까지 소련과 친교를 강화했으나 1979년 이후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쪽으로 선회하였다.[87]
1950년, 마오쩌둥과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련-중국 우호·동맹·상호원조 조약을 체결하여 양국의 국가 이익을 보호하고 정치, 군사, 경제적 차원에서 협력 관계를 강화했다.[13] 스탈린은 중화인민공화국에 3억 달러 차관, 군사 지원, 중국 동부 철도, 뤼순항, 다롄 통제권 이양 등을 제공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은 몽골 인민 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했다. 이 조약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소련의 패권 아래 두었지만, 소련이 마오쩌둥 정부를 직접 통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6년 후, 양국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해석 차이로 인해 조약은 사실상 무효화되었다.[14][15]
1960년 2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의에서 1956년에 채택된 흐루쇼프의 평화공존론을 재확인하는 공동선언서를 채택하였다. 이 회의에 참석한 중화인민공화국 대표 캉성(康生)은 소련의 평화공존론을 비판하며, "미국이 여전히 제국주의적 침략성을 버리지 않고 있으며 타이완 해방은 미국의 방해 공작으로 완수되지 않았다. 흐루쇼프의 낙관적인 평화공존론으로 대미 유화 정책이 대두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지속되는 탈스탈린 정책과 수정주의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레닌주의의 정당성을 신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소련의 쿠시넨(Kwusinen)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은 항상 변천하는 새로운 역사 상황에 맞춰 발전해야 하며, 흐루쇼프야말로 현 역사 상황에 가장 알맞게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을 창조적으로 발전시킨 위대한 공로자이며 그의 평화공존론은 현 국제정세에 가장 합당하도록 레닌주의 외교정책을 창조적으로 발전시킨 신노선이라고 반박하였다.
이처럼 평화공존론에서 시작된 논쟁은 개인 숭배 사상 배격론, 알바니아 문제, 유고슬라비아 문제, 탈스탈린 정책 및 소련 공산당의 신강령, 개발도상국 민족해방운동 성격 규정, 핵무기 문제 등을 둘러싼 전면적인 논쟁으로 번져갔다.
3. 공산주의 국가의 분열
구분 국가 친중국파 알바니아 친소련파 쿠바 공화국, 베트남, 라오스, 아프가니스탄, 에티오피아, 토고, 남예멘, 앙골라, 모잠비크, 콩고 공화국 친소련에서 친중국으로 선회 소말리아 (1979년 이후)
4. 중소 분쟁의 전개
1953년, 중화인민공화국은 소련의 계획 경제 모델을 도입하여 중공업 발전을 우선시했다.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을 통해 농업 국가를 산업 국가로 전환하려 했으나, 비현실적인 목표와 부실한 계획으로 인해 중국 대기근이 발생하여 약 3천만 명이 사망하는 등 큰 피해를 보았다.[16][17][18]
4. 1. 이념적 갈등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제1서기가 개인숭배와 그 결과에 관하여라는 연설을 통해 이오시프 스탈린을 비판하고 탈스탈린화를 추진하면서, 마오쩌둥의 스탈린주의 노선과 충돌하게 되었다.[14][15] 흐루쇼프의 평화공존론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강경한 대외 노선과 배치되었다.[20]
1958년 제2차 타이완 해협 위기 당시 소련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않으면서 양국 간 불신이 심화되었다. 1960년 2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대표 캉성은 소련의 평화공존론을 비판하며 미국이 여전히 제국주의적 침략성을 버리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소련의 쿠시넨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은 변화하는 역사 상황에 맞춰 발전해야 하며, 흐루쇼프의 평화공존론이 현 국제정세에 가장 합당하다고 반박했다. 이후 양국은 개인 숭배 사상 배격론, 알바니아 문제, 유고슬라비아 문제, 탈스탈린 정책, 개발도상국 민족해방운동 성격 규정, 핵무기 문제 등을 둘러싸고 전면적인 논쟁을 벌였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소 양국은 서로를 수정주의, 사회 제국주의라고 비난하며 이념적 대립을 격화시켰다.
4. 2. 정치적 갈등
1959년, 소련은 중소 간 핵무기 기술 협정을 파기했다.[86] 1960년 중-인도 전쟁에서 소련은 중립적 입장을 취했다.[86]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에서 소련의 대응은 중국에게 굴욕적인 것으로 비춰졌다.[86] 1960년대 후반, 문화대혁명은 중국 내부의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고, 소련과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86]
4. 3. 군사적 충돌
1960년대 후반,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해석과 적용을 둘러싼 중국 공산당(CCP)과 소련 공산당(CPSU) 간의 지속적인 갈등이 중소 국경에서 소규모 전쟁으로 확대되었다.[54]
1966년, 외교적 해결을 위해 중국은 19세기에 획정된 중소 국경 문제를 재검토했는데, 이 국경선은 원래 불평등 조약을 통해 청나라에 강요된 것이며, 중국 영토를 러시아 제국에 병합한 것이었다. 중국은 영토 반환을 요구하지 않았지만, 1858년 아이군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중국에 대한 역사적 불의(19세기 국경)가 부정직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소련이 공식적으로 그리고 공개적으로 인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소련 정부는 이 문제를 무시했다.
1968년, 소련군은 특히 소련이 튀르크계 민족을 분리 독립 운동으로 쉽게 유도할 수 있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국경, 즉 중국 북서부 지역에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경을 따라 집결했다. 1961년 소련은 이 국경에 12개 사단의 병력과 200대의 항공기를 배치했다. 1968년까지 소련군은 몽골에 6개 사단, 중소 국경에는 16개 사단, 1,200대의 항공기, 120발의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하여 중국군의 47개 경사단에 맞섰다. 1969년 3월, 국경 충돌이 격화되었고, 우스리강에서의 교전, 젠바오다오 사건, 그리고 티엘리에커티 사건 등이 발생했다.[54]
국경 분쟁 이후, 수많은 첩보원들이 관련된 "첩보전"이 1970년대를 거쳐 소련과 중국 영토에서 발생했다.[55][56] 1972년 소련은 또한 러시아 극동 지역의 지명을 러시아어로 개칭하고, 원래 지명과 중국식 지명을 러시아식 지명으로 바꾸었다.[57]
1969년 3월, 국경 문제를 둘러싸고 우수리강(우스리강)의 전바오 섬(다만스키섬)에서 대규모 군사 충돌이 발생하여(전바오 섬 사건) 중소 국경 분쟁이 발발했다. 8월에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도 충돌이 발생했다.
같은 해 8월 말, 소련이 중국의 핵 시설을 공격했을 때 미국이 취할 대응에 대해 비공식적으로 타진해왔다고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언론에 밝혔다.[87] 직후 소련 공산당 기관지 『프라우다』가 중국을 비난하며 간접적으로 중국에 대한 핵 공격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마오쩌둥은 소련에 대한 핵 공격 준비와 중국 전역의 핵 대피소 건설을 지시했다.[87] 또한, 베이징에 지도부가 집중되어 있으면 핵 공격으로 전멸할 가능성이 있다며 지도층에 지방 분산을 지시했다.
같은 해 9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호찌민 주석 국장 귀환길에 소련의 알렉세이 코시긴 총리가 베이징에서 저우언라이 총리와 회담했다.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에서 국경 문제를 포함한 양국 관계에 대해 논의했지만, 긍정적인 결론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
같은 해 10월,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중 한 명인 천이 외교부장이 저우언라이에게 미소의 모순을 이용하여 미중 관계를 타개할 것을 제안했다.[88]
4. 4. 제3세계에서의 경쟁
1970년대, 중국과 소련 간의 이념적 대립은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국가들로 확대되었으며, 각 사회주의 국가는 현지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과 민병대의 급진주의를 지원했다.[67] 양국의 정치적 조언, 재정 지원, 군사 지원은 민족 해방 전쟁의 실현을 촉진했는데, 여기에는 다음의 사례들이 포함된다.
태국에서는 친중 전선 단체들이 현지 화교 인구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마오이스트 혁명적 선봉대 역할을 하는 데 정치적으로 효과적이지 못했다.[67]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중국은 반대편 게릴라들을 은밀히 지원했다.[68] 소련군 배치 이전에도 모스크바는 베이징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훈자(파키스탄)까지 새로 건설된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아프간 반군을 무장했다고 비난했지만, 중국은 이를 부인했다.[69] 1980년 KGB와 아프간 KHAD는 많은 친중 반소 활동가와 게릴라들을 단속했다.[70]
중소 분열 기간 동안 베트남은 처음에는 중국과 소련 양국과의 관계 균형을 모색했다.[71] 베트남 지도부는 어느 나라를 지지할지 갈등을 겪었다.[71] 레 즈언이 이끄는 친소 그룹이 결국 주도권을 잡았는데, 특히 중국이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면서 베트남 지도부는 이를 중베 관계의 배신으로 여겼기 때문이다.[71] 베트남과 소련의 관계 강화는 중국 지도부를 불안하게 만들었고, 소련에 의한 포위를 우려했다.[71] 이는 중국이 베트남을 침공하여 1979년 중월 전쟁을 시작하는 데 기여했다.[71]
경쟁이라는 이름 아래, 때때로 소련과 중국은 같은 세력을 공동으로 지원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예가 베트남 민주 공화국 지원이다. 소련과 중국의 지원은 베트콩과 베트남 인민군에 대한 보급 및 장비 지원에 매우 중요했다. 대부분의 물자는 소련에서 제공되었고, 중국을 통해 육로로 운송되었다.[72] 일부 분석에 따르면,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중국의 경제 원조는 소련보다 규모가 컸다고 한다. 어떤 추산에 따르면,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중국이 900억 위안에 달하는 가장 많은 원조를 제공했다고 한다.[74] 소련의 물자는 1965년 이전부터 1969년까지 중국을 통해 원활하게 공급되었지만, 1969년에는 중단되었다. 그러나 1971년 중국은 베트남이 소련으로부터 더 많은 물자를 구하는 것을 장려했다. 1972년부터 저우언라이는 소련 철도 수송, 미사일 운송을 장려하고, 400명의 소련 전문가의 베트남 입국을 허용했으며, 1971년 6월 18일에는 중국 항구에서 소련 화물 운송을 재개했다. 중국은 그 후 베트남의 모든 요청에 동의하여 소련 창고에 베트남으로 운송될 물자를 보관하도록 허용했다. 그 결과 중소 분열 기간 동안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대한 공산권의 견고하고 비교적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졌다.[74] 하지만 소련과 중국 간의 고조되는 긴장의 일부는 1979년 중월 전쟁으로 이어졌다.[74]
5. 중소 분쟁의 완화와 종식
198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은 "사실로부터 진리를 구하라"와 "중국식 사회주의"와 같은 현실 정치 노선을 추구하며 이념 논쟁에서 벗어났다. 이는 소련과의 관계에서 이념적 갈등의 중요성을 감소시켰다.
- 1981년 6월, 중국 덩샤오핑·후야오방 체제 등장, 소련과의 관계 개선 모색.
- 1985년 3월, 소련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 취임.
- 1986년, 고르바초프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정보공개) 노선 발표.
- 1989년 5월, 고르바초프 중국 방문, 국가 관계 정상화 내용을 담은 중소 공동 코뮤니케 발표. 직후 6월 4일 톈안먼 사건 발생.
- 1989년 6월~12월, 동유럽 혁명 발발.
- 1989년 12월 3일, 몰타 회담(미소 정상회담)에서 냉전 종식 선언.
- 1991년 3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사 기구 폐지.
- 1991년 6월, 상호 경제 원조 평의회 해산.
- 1991년 7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공식 해체.
- 1991년 8월, 소련 8월 쿠데타 발생.
- 1991년 12월,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5. 1. 관계 개선 노력
1970년대 초, 미중 관계 개선은 중소 관계에 새로운 국면을 조성했다. 1971년 7월, 미국의 국가 안보 보좌관 헨리 키신저가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준비하기 위해 베이징을 방문했다. 키신저의 중미 관계 개선은 소련을 자극했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닉슨과 정상 회담을 개최하여 미국-소련의 냉전 양극 체제를 중국-미국-소련의 냉전 삼극 체제로 재편했다.[63]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집권과 함께 중국의 외교 정책은 실용주의 노선으로 전환했다. 덩샤오핑은 11기 3중전회에서 개혁개방 노선을 채택하며, 마오쩌둥의 비효율적인 정책들을 체계적으로 뒤집고 계획경제에서 사회주의 시장경제로의 전환을 통해 중국 경제 개혁을 실현하기 시작했다.[80][81]
198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은 "사실로부터 진리를 구하라"와 "중국식 사회주의"와 같은 현실 정치(Realpolitik) 정책을 추구했으며,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이데올로기, 논쟁 및 소련의 수정주의의 고차원적 추상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중소 분쟁의 정치적 중요성을 감소시켰다.[80][81] 중소 관계는 1989년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중국을 방문하여 덩샤오핑과 악수한 후 정상화되었다.[85]
5. 2. 소련의 붕괴
中苏分裂중국어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 사이의 관계가 악화된 시기를 말한다.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정보 공개) 노선을 발표하면서 중소 관계는 완화되기 시작했다.[85] 1989년 5월, 고르바초프는 중국을 방문하여 덩샤오핑과 회담하고 국가 관계 정상화를 담은 중소 공동 코뮤니케를 발표했다.[85] 그러나 그 직후 6·4 톈안먼 사건이 발생했다.1989년 6월부터 12월까지 동유럽 혁명이 발발했고, 12월 3일에는 몰타 회담(미소 정상회담)이 열려 냉전 종식을 선언했다. 1991년 3월에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사 기구가 폐지되었고, 6월에는 상호 경제 원조 평의회가 해산되었다. 7월에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공식 해체되었다. 같은 해 8월에는 소련 8월 쿠데타가 발생했고, 12월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가 일어났다. 이로써 중소 분쟁은 종식되었다.
6. 중소 분쟁이 남긴 영향
중소 분쟁은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의 스탈린 비판과 평화 공존 노선 채택으로 촉발된 중국과 소련 간의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분열과 냉전 구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1960년 11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81개국 공산당 회의에서 양국 간의 이념 대립이 표면화되었고, 각국의 공산당은 중소 양국 중 한쪽을 지지하거나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하며 분열되었다. (하위 섹션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분열"과 내용 중복으로 인한 간략화)
1969년 중소 국경 분쟁 이후, 마오쩌둥은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고,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통해 미중 관계가 개선되면서 냉전은 미-소 양극 체제에서 중-미-소 삼극 체제로 재편되었다.(하위 섹션 "냉전 구도의 변화"와 내용 중복으로 인한 간략화)
김일성 통치하의 북한은 중소 양국과 등거리 외교를 펼치며 우호 관계를 유지했다.[85] 1961년 7월, 북한은 중국과 중조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을, 소련과는 소조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을 체결했다. 중소 분쟁은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의 정세와 남북 관계에 복잡한 영향을 미쳤다.(하위 섹션 "한반도에 미친 영향"과 내용 중복으로 인한 간략화)
6. 1.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분열
1956년 소련 공산당 제20차 당대회에서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 비판을 하고 평화 공존 노선을 채택하면서 동유럽 전역에 동요가 확산되었다. 이를 계기로 중국과 소련 사이에 이데올로기 논쟁이 발생했다.[31]1960년 11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81개국 공산당 회의는 중국과 소련 간의 의견을 조정하고 타협적인 모스크바 선언을 발표했다.[31] 그러나 이념 대립은 계속되었고, 각국의 공산당은 중소 양국 중 한쪽을 지지하거나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하게 되었다.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은 중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소련과 적대 관계였다. 1971년에는 알바니아 결의를 제출하여 중화민국을 국제 연합에서 추방시켰다.[38]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1948년에 소련과 대립하여 코민포름에서 제명된 후 비동맹 국가의 유력 국가가 되었다.[38]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과 거리를 두고 서방에 접근했으며, 중국과도 일정한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3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일성 통치하에 중소 양국과 등거리 외교를 펼쳤다.[40]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종결 후 중국과 적대 관계가 되었고, 소련과의 우호 관계는 유지되었다.[38]
- 캄보디아의 폴 포트 정권(민주 캄푸치아)은 친중이었고, 헹 삼린 정권(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은 친소였다.[38]
- 쿠바는 미국과의 대립으로 소련에 접근했고, 중국과는 우호도 적대도 하지 않았다.[38]

빨강=소비에트 연방 및 소비에트 연방에 가담한 동구권 국가들(제3세계 국가 포함)
노랑=중화인민공화국 및 중화인민공화국에 가담한 동구권 국가들(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과 민주 캄푸치아)
검정=소비에트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 양쪽에도 가담하지 않은 동구권 국가들(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 북한)
6. 2. 냉전 구도의 변화

1960년대 초, 미국은 "핵무장 중국"이 미국과 소련 중심의 냉전 구도를 깨뜨릴 것을 우려했다. 중국이 핵 강국으로 부상하는 것을 막기 위해 존 F. 케네디와 린든 B. 존슨 행정부는 중국 핵 프로그램(중국과 대량살상무기)을 방해하거나 직접 공격하는 방법을 모색했으며, 여기에는 국민당(중국) 또는 소련의 지원을 받는 방안도 포함되었다.[58] 핵전쟁을 피하기 위해 흐루쇼프는 중국에 대한 미·소의 선제 공격 제안을 거절했다.[58]
미국은 중국의 핵폭탄 제조를 막기 위해 외교 및 선전, 침투 및 파괴 행위, 대만 국민당의 침략, 해상봉쇄, 한국의 북한 침공, 핵 생산 시설에 대한 재래식 공습, "선택된 중공(중국 공산당) 목표물"에 대한 핵폭탄 투하 등 다양한 조치를 고려했다.[59] 1964년 10월 16일, 중국은 우라늄-235 내파형 핵분열 장치[60]를 이용한 첫 번째 핵폭탄을 폭발시켰는데, 이는 22킬로톤의 TNT에 해당하는 위력이었다.[61] 중국은 596 프로젝트[62]를 실현하는 데 있어 소련의 기술 지원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소련의 핵 위협을 인식한 중국은 베이징의 지하도시와 같은 대규모 지하 벙커와 후베이성에 있는 사령부인 지하 프로젝트 131, 충칭의 푸링 구에 있는 816 핵 군사 공장과 같은 군용 지하 벙커를 건설했다.
1969년 10월, 7개월간의 중소 국경 분쟁 이후 베이징에서 코시긴 소련 총리가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와 비밀리에 만나 중소 국경 획정 문제를 논의했다. 국경 획정은 불확실했지만, 회담을 통해 중소 외교 관계가 회복되었다. 1970년, 마오쩌둥은 중국이 미국과 소련을 동시에 상대하고 내부 혼란을 진압할 수 없다는 것을 বুঝতে পেরে,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1971년 7월, 미국의 국가 안보 보좌관 헨리 키신저가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준비하기 위해 베이징을 방문했다. 키신저의 중미 관계 개선은 소련을 자극했고, 브레즈네프는 닉슨과 정상 회담을 개최하여 미-소 냉전 양극 체제를 중-미-소 삼극 체제로 재편했다. 중미 관계 개선과 함께 소련과 중화민국(대만) 간의 관계도 개선되었지만, 소련이 대만을 공식적으로 승인하지는 않았다.[63]
6. 3. 한반도에 미친 영향
김일성 통치하의 북한은 중소 양국과 등거리 외교를 펼치며 우호 관계를 유지했다.[85] 1961년 7월, 북한은 중국과 중조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을, 소련과는 소조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을 체결했다.중소 분쟁은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의 정세와 남북 관계에 복잡한 영향을 미쳤다. 북한은 중소 양국 사이에서 실리를 추구하며 외교 관계를 유지하였고, 남한은 중소 분쟁을 이용하여 안보를 강화하고 북한과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 했다.
7. 일본 좌익 정당의 입장
일본공산당은 중소 분쟁 과정에서 소련과 중국 양측으로부터 비판을 받으며 독자 노선을 강화했다.[30][46][47][48] 일본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혁명적마르크스주의파(혁마르파)와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전국위원회(중핵파)는 반스탈린주의 입장에서 중국과 소련을 모두 비판했다.[46][47] 공산주의자동맹(분토)은 제국주의 평가 관점에서 중국을 옹호했지만, 중국 공산당에 세계혁명론이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했다.[48]
8. 결론 및 평가
중소 분쟁은 20세기 후반, 국제정세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이념, 정치, 군사, 경제 등 다방면에 걸친 복합적인 갈등이었다. 특히 1960년대 마르크스-레닌주의 교리 논쟁은 스탈린주의를 고수하던 중국 공산당과 스탈린 사후 변화를 추구하던 소련 공산당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30]
중소 분쟁은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분열, 냉전 구도의 변화, 제3세계의 갈등 심화 등 다양한 결과를 초래했다. 1960년 루마니아 공산당 대회에서 펑전은 니키타 흐루쇼프가 마오쩌둥을 민족주의자, 모험가, 이념적 탈선자로 비난한 것에 대해, 흐루쇼프를 수정주의자라고 비판하며 갈등이 표면화되었다.[30] 이후 소련은 중국에 대한 기술 지원을 중단했고, 양국 관계는 악화되었다.
1969년에는 우수리강의 진보섬(다만스키섬)에서 대규모 군사 충돌이 발생하여 중소 국경 분쟁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북한은 중국과 소련 양국 사이에서 등거리 외교를 펼쳤으며, 한국의 입장에서는 중소 분쟁이 냉전의 한 축을 이루면서 북한과의 관계, 그리고 미국, 일본과의 외교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World History
Chambers
[2]
서적
China's Quest: The History of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People's Republic
[3]
학술지
Sino-Soviet Competition in Africa
https://www.jstor.or[...]
2018-01-29
[4]
학술지
Sino-Soviet Competition in Africa
[5]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Volume I: Foundations of Foreign Policy, 1969-1972
https://2001-2009.st[...]
2021-08-27
[6]
간행물
The Myth of Monolithic Communism
1979-02
[7]
서적
China Under Commun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9-11
[8]
웹사이트
Less Revolution, More Realpolitik: China's Foreign Policy in the Early and Middle 1970s
https://www.wilsonce[...]
2021-08-27
[9]
서적
The Sino-Soviet Split: Cold War in the Communis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07-06
[10]
서적
The China Mission: George Marshall's Unfinished War, 1945–1947
[11]
서적
The Sino-Soviet split: Cold War in the Communist World
[12]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13]
서적
The Sino-Soviet split: Cold War in the Communist World
[1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Soviet Empire
[15]
간행물
Sixty Years of the Treaty of Friendship, Alliance and Mutual Assistance Between the U.S.S.R. and the PRC, 14 February 1950
[16]
서적
The Sino-Soviet Split: Cold War in the Communist World
[17]
학술지
The Great Leap Forward, the People's Commune and the Sino-Soviet split
[18]
웹사이트
China's Great Leap Forward
https://www.asianstu[...]
2024-03-20
[19]
서적
The Sino-Soviet Split: Cold War in the Communist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학술지
Communist China's 5 Year Plan
1955-12
[21]
웹사이트
One Finger's Worth of Historical Events: New Russian and Chinese Evidence on the Sino-Soviet Alliance and Split, 1948–1959
http://www.wilsoncen[...]
2016-02-24
[22]
웹사이트
Chinese Communist Party: The Leaders of the CPSU are the Greatest Splitters of Our Times, February 4, 1964
http://legacy.fordha[...]
Fordham University
2015-07-01
[23]
웹사이트
Khrushchev in Water Wings: On Mao, Humiliation and the Sino-Soviet Split
https://www.smithson[...]
[24]
서적
Eighth Moon: The True Story of a Young Girl's Life in Communist China
Scholastic
[25]
웹사이트
1961: Zhou Enlai calls for reunification of all communist parties
http://www.china.org[...]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2022-04-03
[26]
서적
Daily Report, Foreign Radio Broadcasts, Issues 245-246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2-12-18
[27]
웹사이트
This week in history: December 5–11
https://www.wsws.org[...]
2022-04-03
[28]
서적
The Origins of the Cultural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Friends and enemies : the United States, China, and the Soviet Union, 1948–1972
[[iarchive:friendsen[...]
[30]
서적
The Real History of the Cold War: A New Look at the Past
[31]
뉴스
One-Third of the Earth
http://www.time.com/[...]
Time
1961-10-27
[32]
웹사이트
Exploring Chinese History: Politics: International Relations: Sino- Soviet Relations
http://www.ibiblio.o[...]
2016-04-15
[33]
서적
Moscova 1963: eşecul negocierilor sovieto-chineze
Editura Eikon & Editura Mega
[34]
서적
România şi conflictul sovieto-chinez (1956-1971) & From Moscow to Beijing Romania and the Mediation of the Sino-Soviet Split
Editura Mega
[35]
서적
Civilization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Prentice-Hall
2021-07-28
[36]
서적
Today's Isms: Communism, Fascism, Capitalism, Socialism
https://books.google[...]
Prentice-Hall
2021-07-28
[37]
서적
Romania: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 Political Stagnation and Simulated Change
https://books.google[...]
Pinter
2021-07-28
[38]
서적
Europe Since 1945: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1-07-28
[39]
서적
The Reporter
https://books.google[...]
Reporter Magazine, Company
2021-07-28
[40]
서적
The Impossible State: North Korea, Past and Future
http://archive.org/d[...]
Ecco
[41]
학술지
Neither for, nor against Mao: PCI-CCP interactions and the normalisation of Sino-Italian Relations, 1966–71
https://www.tandfonl[...]
2023-02-13
[42]
웹사이트
A Proposal Concerning the General Lin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http://www.marxists.[...]
2016-02-24
[43]
웹사이트
Seven Letters Exchanged Between the Central Committee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http://www.etext.org[...]
2007-10-21
[44]
서적
Mao Cult: Rhetoric and Ritual in China's Cultural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뉴스
At the Summit: Cautious Optimism
https://news.google.[...]
2013-07-17
[46]
서적
Dictionary of Wars
[47]
서적
The Columbia Encyclope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48]
서적
Dictionary of Historical Terms
Peter Bedrick Books
[49]
서적
The Red Flag: A History of Communism
[50]
웹사이트
CHINESE AND SOVIET INVOLVEMENT IN VIETNAM
https://alphahistory[...]
2019-06-20
[51]
서적
Dictionary of Historical Terms
Peter Bedrick Books
[52]
웹사이트
CHINA, THE FUN HOUSE MIRROR: SOVIET REACTIONS TO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1966-1969
https://iseees.berke[...]
[53]
웹사이트
Soviet-Chinese Relations, 1945-1970
http://web.stanford.[...]
[54]
서적
The Sino-Soviet split: Cold War in the Communist World
[55]
웹사이트
The Soviet-Chinese Spy Wars in the 1970s: What KGB Counterintelligence Knew, Part I
https://www.wilsonce[...]
2021-09-29
[56]
웹사이트
The Soviet-Chinese Spy Wars in the 1970s: What KGB Counterintelligence Knew, Part II
https://www.wilsonce[...]
2021-09-29
[57]
학술지
The alteration of place names and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in Soviet Armenia
https://journals.ope[...]
2003-01-01
[58]
학술지
Whether to "Strangle the Baby in the Cradle": The United States and the Chinese Nuclear Program, 1960–64
https://www.belferce[...]
2019-04-29
[59]
서적
A Study of Chinese Communist Vulnerability
[60]
웹사이트
16 October 1964 – First Chinese nuclear test: CTBTO Preparatory Commission
https://www.ctbto.or[...]
2017-06-01
[61]
서적
Russian Strategic Nuclear Forces
MIT Press
[62]
웹사이트
CTBTO World Map
https://www.ctbto.or[...]
2019-01-31
[63]
학술지
From Ideological Foe to Uncertain Friend: Soviet Relations with Taiwan, 1943-82
https://www.tandfonl[...]
2023-02-15
[64]
서적
The Russian Far East: A Histor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65]
서적
Siberia Today and Tomorrow: A Study of Economic Resources, Problems, and Achievements
https://books.google[...]
Collins
[66]
간행물
The Ancient Tortoise and the Soviet Cement
http://85.114.94.194[...]
2000-04-30
[67]
서적
Winning the Third World: Sino-American Rivalry during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7-10-15
[68]
서적
India's National Security: Annual Review 201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6-06
[69]
웹사이트
Afghanistan: The Soviet Quagmire
https://www.heritage[...]
2023-01-09
[70]
웹사이트
Afghanistan
https://publishing.c[...]
2021-08-05
[71]
서적
The Art of State Persuasion: China's Strategic Use of Media in Interstate Disputes
Oxford University Press
[72]
웹사이트
The Vietnam War - CCEA - GCSE History Revision - CCEA
https://www.bbc.co.u[...]
2021-07-27
[73]
학술지
Soviet Biscuit Factories and North Vietnam's Economic Diplomacy in 1967 and 1968
https://www.jstor.or[...]
2012
[74]
서적
Behind the Bamboo Curtain: China, Vietnam, and the World Beyond Asi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75]
뉴스
Yao Wenyuan
http://www.economist[...]
[76]
학술지
Soviet Social Imperialism, Myth or Reality: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hinese Thesis
https://www.jstor.or[...]
n.d.
[77]
서적
China and the three worlds : a foreign policy reader
2018
[78]
뉴스
Peril to Chinese-Soviet Talks Is Seen in Diatribes
https://www.nytimes.[...]
1970-05-03
[79]
웹사이트
Soviet Union today: socialist or fascist?
https://www.marxists[...]
[80]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Harper Collins Publishers
[81]
서적
Dictionary of Political Terms
Peter Bedrick Books
[82]
웹사이트
U.S. and Peking Join in Tracking Missiles in Soviet Union
https://www.nytimes.[...]
1981-06-18
[83]
웹사이트
Sino-Soviet Relations and the February 1979 Sino-Vietnamese Conflict
http://www.vietnam.t[...]
[84]
학술지
The Unending Sino-Soviet Conflict
https://www.jstor.or[...]
1980
[85]
서적
Cold War: The Essential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ABC-CLIO
[86]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